하수처리장 지능화 시스템 구축 방향

 지능화 구축계획

공공하수처리시설 지능화 컨셉 설정
공정별 지능화 방안 (알고리즘) 제시
예지보전, 에너지 관리 방안 검토
지능화 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
성과검증 및 사업효과 분석방안 
처리시설 별 시설계획 수립
사업비 산정 (예산범위 내 사업비 소요 우선순위 결정)

지능화 대상범위

• 유입부하와 연동한 유입펌프 및 분배제어 
• 생물반응조 내 질소제거기작 영향인자와 연계한 운전인자 제어(송풍량 조절 등)
• 슬러지 계면높이 및 인발 MLSS농도와 연계한 슬러지 인발량 제어

지능화 시스템 구축 방향

1) 유입 오염부하량 변동에 따른 운전모드 변경 운영 등 어떤 조건에도 안정적인 처리수질 확보를 위한
    방류수질 예측 및 사전대응

2) 시나리오 구축 후 운영자의 운영모드 변경 운전 수행 ↔ 운영 학습

3) 지능화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최적 운전으로 탄소배출 저감(에너지 절감), 사고예방 등 고부가가치      실현 

데이터 수집

 •유입하수 : 유입하수 유량 및 수질(오염부하량), 수온

 • 유입펌프장 유입분배 : 생물반응조 수온,처리수질(성능)

 • 생물반응조 : 유량, 수질, 질산화율, 송풍기량

 • 이차침전지 : 슬러지 인발량, 농도, 계면 높이


데이터 수집 후 학습방안

단계별 지능화에 필요한 입력변수와 운전변수를 활용한 분석 및 진단  
  → 공정별 유입성상 예측과 공정모델링을 이용한 처리시설 운영에 필요한 원인 추론 분석 및 진단

데이터 수집후 학습방안

유입수 및 방류수질 예측을 위한 계측정보 취득 용도의 설비 보강 및 기계학습 모델 기술 적용
공정성능 예측을 위한 공정모델링(ASMs등 반응조 물리적 모델구축)

스마트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해 자율운영, 에너지, 예지보전 등이 상호 연계되는 지능화 체계 구축
→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기술을 활용, 자율운영, 이상감지 및 에너지관리가 융합된 플랫폼 구축

지능화를 위한 검토사항

지능화 감시제어 설비 : 지능화 운영을 위해 운영시스템 도입
감시제어용 PLC 성능 개선 : 최신 PLC 반영을 통한 지능화 목표 지원 설비 마련
에너지 및 설비 이상 감지시스템 : 지능화 시스템 운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에너지 및 시설 운전 성능 감시 및 진단
빅데이터 플랫폼 기자재 도입 : 지능화 시스템 운영을 위한 별도 H/W 구축
지능화 운영시스템 : 유입량 예측, 공정진단 솔루션을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화 운영 플랫폼 구축 
지능화 시스템 연계 구성 : 지능화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기존 계측 정보의 연계 및 지능화 운영을 위한 시스템간 연계 체계 구축
계측기 설치 : 지능화 운영을 위한 계측기 신설 
지능화 시스템 성능 검보정 및 효과 분석 : 4계절 지능화 시스템 운영을 통한 DB 학습 및 검증을 통한 최적화
공정분석 및 컨설팅 비용 : 엔지니어링과 협업을 통한 지능화 시스템 효과 극대화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